주휴수당 계산 ; 어렵지 않아요 !
2017. 9. 10. 15:35
주휴수당 계산 ; 어렵지 않아요 !
안녕하세요. 금융제대로알기 입니다.
오늘은 요근래 계속 이슈가 되었던
주휴수당 조건 및 계산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주휴수당은 근로기준법에 명시된 근로자의
기본적인 권리입니다.
근로기준법 제55조(휴일)
사용자는 근로자에게 1주일에 평균 1회 이상의 유급휴일을 주어야 한다.
근로기준법 시행령 제 30조
법 제 55조에 따른 유급휴일은 1주 동안의 소정근로일을 개근한 자에게 주어야 한다.
먼저 주휴수당 조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1. 일주일간의 근무일에 개근을 하고
2. 주 15시간 일을 하는 경우
주휴수당 계산법은 어렵지 않습니다.
주휴수당 = 일주일 총 근로시간 ÷ 40시간 × 8 × 시급
예를 들어 주 6일 근무, 하루 6시간, 시급이 7천원이면,
6 × 6 ÷ 40 × 8 × 7,000 = 50,400원
1주일에 받아야 할 주휴수당은 50,400원 입니다.
주휴수당은 정규직근무자뿐만 아니라 아르바이트,
계약직, 임시직도 동일하게 적용이 됩니다.
주휴수당 미지급은 기본적으로 임금체불에 해당됩니다.
임금체불로 신고할 경우에는 퇴사 후 3년까지
가능하오니 퇴사 후에도 신고가 가능합니다.
지방고용노동청에 방문 신고도 가능하며,
고용노동부 홈페이지에서도 신청이 가능합니다.
(민원마당 > 민원신청 > 임금체불진정신고서)
주휴수당 미지급으로 진정제기하는 경우에
근로계약서 등 고용관계와 월고정임금 또는
시급을 확인할 수 있는 서류 그리고
월별 실제 출퇴근시각이 작성된 서류들이 필요합니다.
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부탁드립니다.
'생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국민연금 실업크레딧 ; 희망퇴직 후에 꼭 확인해야 할 제도 ! (0) | 2017.09.11 |
---|---|
침수사고 조회 방법 (0) | 2017.09.10 |
영유아 독감예방접종 무료 대상부터 시기까지 (0) | 2017.09.10 |
인천 출산장려금 제도 알아보기 <2017년 기준 각 구별 기준> (0) | 2017.08.29 |
지심도 배시간 및 요금 정보 <거제도 동백섬> (0) | 2017.08.29 |